맨위로가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는 1963년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이다. 1970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제휴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클루브 데 푸트볼로 이름을 변경했고, 1991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세군다 디비시온, 세군다 디비시온 B, 테르세라 디비시온, 테르세라 디비시온 RFEF 등 하위 리그에서 주로 활동했으며, 다비드 데 헤아, 코케 등 많은 선수를 1군으로 배출했다. 2023-24 시즌에는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에 참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드리드의 축구단 - 라요 바예카노
    라요 바예카노는 1924년 창단된 스페인 마드리드 소재의 축구 클럽으로, 승강 플레이오프 팀으로서의 역사와 UEFA컵 8강 진출이라는 성과, 강력한 팬덤과 사회 참여 활동으로 유명하지만 구단주와의 갈등 및 극우 성향 팬 논란 등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붉은색 사선 줄무늬 유니폼과 바예카스 축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마드리드의 축구단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스페인 마드리드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라리가 11회 우승, 코파 델 레이 10회 우승 등 주요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 지휘 아래 2010년대에 UEFA 유로파리그와 UEFA 슈퍼컵 우승, 라리가 우승을 달성했다.
  • 스페인의 축구 리저브팀 - CD 바스코니아
    CD 바스코니아는 1913년 설립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아틀레틱 빌바오의 위성 구단으로서 유망주 육성에 기여하며 많은 선수들이 프로 데뷔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 스페인의 축구 리저브팀 - 세비야 아틀레티코
    세비야 아틀레티코는 1958년에 창단된 세비야 FC의 B팀이며, 테르세라 디비시온과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우승했고, 2023-24 시즌에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으로 승격했다.
  • 1963년 설립된 축구단 - 부르사스포르
    부르사스포르는 1963년에 창단된 튀르키예의 축구 클럽으로, 2009-10 시즌 쉬페르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재정난으로 인해 2024년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 1963년 설립된 축구단 - 페르세폴리스 FC
    페르세폴리스 FC는 1963년 창단되어 1968년 샤힌 FC 선수들을 영입하며 강호로 발돋움한 이란의 축구 클럽으로, 1971년 이란 리그 첫 우승 후 이란 혁명 이후 어려움을 겪었으나 재건을 거쳐 2000년대에도 우승하며 꾸준한 활약을 보이고 있으며, 붉은색 유니폼을 상징으로 테헤란을 연고로 하는 에스테글랄 FC와의 테헤란 더비로도 유명하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 이름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전체 이름Club Atlético de Madrid, S.A.D. "B"
별칭Atleti
창단1963년 9월 17일
경기장에스타디오 세로 델 에스피노, 마하다온다, 마드리드
수용 인원3,800명
회장엔리케 세레소
감독페르난도 토레스
리그프리메라 페데라시온
웹사이트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써드 유니폼
관련 부서
연관 클럽남자 축구
남자 축구 B
남자 축구 U-19
여자 축구
캐나다 축구
멕시코 축구

2. 역사

1963년 9월 17일, ''CD 레이프라''와 ''CA 헤타페''가 합병하여 ''레이프라 아틀레티코 O.J.E.''가 창단되었다.[2] 1970년에는 ''아비아코 마드릴레뇨 CF''를 흡수하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제휴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클루브 데 푸트볼''로 이름을 변경했다.[2]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CF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코파 델 레이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1-92 시즌부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으로 활동하게 되면서, 더 이상 코파 델 레이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1991년, 1991-92 시즌을 앞두고 구단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로 이름을 변경했다. 1980년부터 1986년까지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했던 2군 팀은 이후 수십 년 동안 그 수준과 1977년에 새로운 3부 리그로 창설된 세군다 디비시온 B를 오갔다. 1998–99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에는 (미래 발렌시아 CF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스타 미드필더루벤 바라하가 활약했던) 팀이 2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라 리가 승격 자격이 없었고, CD 누만시아가 대신 자동 승격 자격을 얻었다. 1999–2000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에는 1군 팀이 라 리가에서 강등되면서 행정상 강등되었으며, 2000–01 세군다 디비시온 B 시즌에는 2001 세군다 디비시온 B 플레이오프에서 승격에 실패했다.

2009년 경기 전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2000년대는 전체적으로 3부 리그에서 보냈지만, 다비드 데 헤아, 알바로 도밍게스 소토, 안토니오 로페스, 가비 (축구 선수, 1983년생), 마리오 수아레스, 코케 (축구 선수, 1992년생), 이그나시오 카마초, 사울 니게스, 토마스 파티 및 루카스 에르난데스 등 여러 선수들이 1군으로 이적했다.

2020–21 세군다 디비시온 B 시즌에는 좋지 않은 경기력과 리그 구조 개편으로 인해 팀은 4부 리그가 아닌 5부 리그 (테르세라 디비시온 RFEF)로 강등되었으며, 창단 초기 몇 년을 제외하고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3부 리그 아래에서 두 시즌만 활동했다.[2] 그들은 2년 안에 복귀했으며, 2023 세군다 페데라시온 플레이오프를 통해 두 번째 승격을 달성했다.

2. 1. 창단 초기 (1963년 ~ 1970년)

1963년 9월 17일, CD 레이프라와 CA 헤타페가 합병하여 레이프라 아틀레티코 O.J.E.가 창단되었다.[2] 1970년에는 아비아코 마드릴레뇨 CF를 흡수하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제휴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클루브 데 푸트볼로 이름을 변경했다.[2]

2. 2.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CF (1970년 ~ 1990년)

1964년에 "CD 레이프라" (1963–64)와 "CA 헤타페"가 합병되면서 "레이프라 아틀레티코 O.J.E."로 창단되었다.[2] 1970년에는 "아비아코 마드릴레뇨 CF"를 흡수했으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제휴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클루브 데 푸트볼"로 이름을 변경했다.[2]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CF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코파 델 레이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1-92 시즌부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으로 활동하게 되면서, 더 이상 코파 델 레이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2]

2. 3.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1990년 ~ 현재)

1964년에 "CD 레이프라" (1963–64)와 "CA 헤타페"가 합병되면서 "레이프라 아틀레티코 O.J.E."로 창단되었다. 1970년에는 "아비아코 마드릴레뇨 CF"를 흡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제휴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클루브 데 푸트볼"로 이름을 변경했다.[2] 1991년, 1991–92 시즌을 앞두고 구단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로 개명했다.

1980년부터 1986년까지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했던 2군 팀은 이후 수십 년 동안 세군다 디비시온과 1977년에 새로운 3부 리그로 창설된 세군다 디비시온 B를 오갔다. 1998–99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에는 2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라 리가 승격 자격이 없었고, CD 누만시아가 대신 자동 승격 자격을 얻었다.[2] 1999–2000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에는 1군 팀이 라 리가에서 강등되면서 B팀도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2]

2000년대는 대체로 3부 리그에서 보냈지만, 다비드 데 헤아, 알바로 도밍게스 소토, 안토니오 로페스, 가비 (축구 선수, 1983년생), 마리오 수아레스, 코케 (축구 선수, 1992년생), 이그나시오 카마초, 사울 니게스, 토마스 파티 및 루카스 에르난데스 등 여러 선수들이 1군으로 이적했다.[2]

2020–21 세군다 디비시온 B 시즌에는 좋지 않은 경기력과 리그 구조 개편으로 인해 팀은 5부 리그 (테르세라 디비시온 RFEF)로 강등되었으며, 창단 초기 몇 년을 제외하고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3부 리그 아래에서 두 시즌만 활동했다.[2] 이후 2년 만에 복귀, 2023 세군다 페데라시온 플레이오프를 통해 두 번째 승격을 달성했다.[2]

2. 4. 클럽 명칭 변천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는 1963년 창단 이후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3년부터 1964년까지는 클루브 데포르티보 레이프라(Club Deportivo Reyfra)로 불렸고, 1964년부터 1970년까지는 레이프라 아틀레티코 O.J.E.(Reyfra Atlético O.J.E.)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는 아틀레티코 마드릴레뇨 클루브 데 푸트볼(Atlético Madrileño Club de Fútbol)로, 1990년부터 1992년까지는 클루브 아틀레티코 데 마드리드 "B"(Club Atlético de Madrid "B")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2년부터는 클루브 아틀레티코 데 마드리드, S.A.D. "B"(Club Atlético de Madrid, S.A.D. "B")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3. 시즌별 성적

wikitable

시즌티어리그순위코파 델 레이
1966–674프리메라 레히오날2위style="background:#efefef;"|
1967–68310위style="background:#efefef;"|
1968–69311위style="background:#efefef;"|
1969–7035위4라운드
1970–7135위불참
1971–7233위3라운드
1972–7332위1라운드
1973–74311위3라운드
1974–75310위불참
1975–7635위3라운드
1976–7735위불참
1977–7832ª B11위불참
1978–7932ª B10위불참
1979–8032ª B2위불참
1980–81214위3라운드
1981–82210위16강
1982–83213위2라운드
1983–84214위1라운드
1984–85214위3라운드
1985–86220위2라운드
1986–8732ª B14위2라운드
1987–8832ª B11위1라운드
1988–8932ª B1위2라운드
1989–90220위2라운드
1990–9132ª B8위N/A



시즌티어리그순위코파 델 레이
1991–9232ª B7위N/A
1992–9332ª B7위N/A
1993–9432ª B6위N/A
1994–9532ª B9위N/A
1995–9632ª B4위N/A
1996–97212위N/A
1997–9829위N/A
1998–9922위N/A
1999–2000217위N/A
2000–0132ª B1위N/A
2001–0232ª B10위N/A
2002–0332ª B12위N/A
2003–0432ª B1위N/A
2004–0532ª B6위N/A
2005–0632ª B9위N/A
2006–0732ª B14위N/A
2007–0832ª B10위N/A
2008–0932ª B13위N/A
2009–1032ª B7위N/A
2010–1132ª B11위N/A
2011–1232ª B5위N/A
2012–1332ª B7위N/A
2013–1432ª B16위N/A
2014–1532ª B18위N/A
2015–1644위N/A
2016–1741위N/A
2017–1832ª B10위N/A
2018–1932ª B3위N/A
2019–2032ª B3위N/A
2020–2132ª B8위/4위N/A
2021–2253ª RFEF1위N/A
2022–2342ª Fed.2위N/A
2023–2431ª Fed.9위N/A
2024–2531ª Fed.style="background:#F4DFC8;"|N/A

3. 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CF (독립 클럽)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CF는 1966-67 시즌부터 1990-91 시즌까지 독립 클럽으로 활동했다. 다음은 해당 기간 동안의 기록이다.

시즌티어리그순위코파 델 레이
1966–674style="background:#efefef;"|
1967–68310위style="background:#efefef;"|
1968–69311위style="background:#efefef;"|
1969–7035위4라운드
1970–7135위불참
1971–7233위3라운드
1972–7332위1라운드
1973–74311위3라운드
1974–75310위불참
1975–7635위3라운드
1976–773불참
1977–7832ª B11위불참
1978–7932ª B10위불참
1979–8032ª B불참
1980–81214위3라운드
1981–82210위16강
1982–83213위2라운드
1983–84214위1라운드
1984–85214위3라운드
1985–8622라운드
1986–8732ª B14위2라운드
1987–8832ª B11위1라운드
1988–8932ª B2라운드
1989–9022라운드
1990–9132ª B8위N/A


3. 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리저브 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이다. 1991-92 시즌부터 현재까지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티어리그순위코파 델 레이
1991–9232ª B7위N/A
1992–9332ª B7위N/A
1993–9432ª B6위N/A
1994–9532ª B9위N/A
1995–9632ª BN/A
1996–97212위N/A
1997–9829위N/A
1998–9922위N/A
1999–20002N/A
2000–0132ª B1위N/A
2001–0232ª B10위N/A
2002–0332ª B12위N/A
2003–0432ª B1위N/A
2004–0532ª B6위N/A
2005–0632ª B9위N/A
2006–0732ª B14위N/A
2007–0832ª B10위N/A
2008–0932ª B13위N/A
2009–1032ª B7위N/A
2010–1132ª B11위N/A
2011–1232ª B5위N/A
2012–1332ª B7위N/A
2013–1432ª B16위N/A
2014–1532ª BN/A
2015–1644위N/A
2016–174N/A
2017–1832ª B10위N/A
2018–1932ª B3위N/A
2019–2032ª B3위N/A
2020–2132ª B / N/A
2021–2253ª RFEF1위N/A
2022–2342ª Fed.2위N/A
2023–2431ª Fed.9위N/A
2024–2531ª Fed.style="background:#F4DFC8;"|N/A

4. 선수단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9일 기준)'''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한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3]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알레한드로 이투르베ESP
2DF마르틴 파스쿠알ESP
3DF훌리오 디아스ESP
4DF하비에르 보냐르ESP
5DF일리아스 코스티스GRE
6MF하비 세라노ESP
7FW디에고 브리ESP
8MF알레한드로 메스탄자ESP
9FW아드리안 니뇨ESP
10MF아이토르 히스메라ESP
11FW살림 엘 제바리MAR
12DF헤로니모 스피나ARG
13GK안토니오 고미스ESP
14MF호아킨 곤잘레스ESP
15DF다니 마르티네스ESP
17MF이케르 루케ESP
18MF셀루 디알로GUI
19FW압데 라이하니MAR
20MF라야네 벨라이드ESP
21MF알레 가르시아ESP
22DF파블로 페레스ESP
23DF카를로스 히메네스ESP
24FW빅토르 몰레호ESP
26MF하노 몬세라테ESP
27FW오마르 얀네ESP
28MF다비드 무뇨스ESP
29MF다리오 프레이ESP
30DF아드리안 코랄ESP
31GK페르난도 엠바제GNB
32DF세이두 팔MTN
33GK루이스미 모랄레스ESP
34FW디에고 메수시ESP
35DF파블로 판ESP



'''임대 선수'''


  • 2023년 9월 7일 현재 임대 선수에 대한 정보는 주어지지 않았다.


'''주요 유소년 팀 선수'''

등번호포지션선수 이름
1GK안토니오 고미스
3DF마르코 모레노
4DF마리아노 고메스
5DF일리야스 코스티스
6MF아산 은디아예
7FW디에고 브리
8MF세르히오 게레로
9FW나빌 투아이시
10MF알렉스 카라트라바
11FW살림 엘 제발리
13GK알레한드로 이투르베
14DF호엘 알미
15DF다니 마르티네스
16DF카를로스 푸가
17FW아드리안 니뇨
18MF마리오 다 코스타
19MF알레한드로 메스탄사
20MF마리오 마로토
21FW압데 라이아니
22MF파블로 페레스
23MF아이토르 히스메라
24GK세르히오 메스트레
25MF다비드 무뇨스
26DF이반 바실리에비치
27DF하비에르 보냐르



감독은 루이스 테베네트이다.

참고: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의 규정에 따른 대표 자격 규칙에 근거한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9일 기준)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3] 2024년 9월 9일 기준 선수 명단이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알레한드로 이투르베ESP
2DF마르틴 파스쿠알ESP
3DF훌리오 디아스ESP
4DF하비에르 보냐르ESP
5DF일리아스 코스티스GRE
6MF하비 세라노ESP
7FW디에고 브리ESP
8MF알레한드로 메스탄자ESP
9FW아드리안 니뇨ESP
10MF아이토르 히스메라ESP
11FW살림 엘 제바리MAR
12DF헤로니모 스피나ARG
13GK안토니오 고미스ESP
14MF호아킨 곤잘레스ESP
15DF다니 마르티네스ESP
17MF이케르 루케ESP
18MF셀루 디알로GUI
19FW압데 라이하니MAR
20MF라야네 벨라이드ESP
21MF알레 가르시아ESP
22DF파블로 페레스ESP
23DF카를로스 히메네스ESP
24FW빅토르 몰레호ESP
26MF하노 몬세라테ESP
27FW오마르 얀네ESP
28MF다비드 무뇨스ESP
29MF다리오 프레이ESP
30DF아드리안 코랄ESP
31GK페르난도 엠바제GNB
32DF세이두 팔MTN
33GK루이스미 모랄레스ESP
34FW디에고 메수시ESP
35DF파블로 판ESP


4. 2. 임대 선수

2023년 9월 7일 기준으로, 현재 다른 팀으로 임대되어 있는 선수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4. 3. 주요 유소년 팀 선수

2023년 9월 7일 기준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등번호포지션선수 이름
1GK안토니오 고미스
3DF마르코 모레노
4DF마리아노 고메스
5DF일리야스 코스티스
6MF아산 은디아예
7FW디에고 브리
8MF세르히오 게레로
9FW나빌 투아이시
10MF알렉스 카라트라바
11FW살림 엘 제발리
13GK알레한드로 이투르베
14DF호엘 알미
15DF다니 마르티네스
16DF카를로스 푸가
17FW아드리안 니뇨
18MF마리오 다 코스타
19MF알레한드로 메스탄사
20MF마리오 마로토
21FW압데 라이아니
22MF파블로 페레스
23MF아이토르 히스메라
24GK세르히오 메스트레
25MF다비드 무뇨스
26DF이반 바실리에비치
27DF하비에르 보냐르



감독은 루이스 테베네트이다.

참고: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의 규정에 따른 대표 자격 규칙에 근거한다.

5. 코칭 스태프

레오 프랑코골키퍼 코치리카르도 알론소분석관하비에르 아기레
다리오 로사다대표미겔 앙헬 고메스 곤잘레스피트니스 코치루이스 피녜도클럽 의사파비오 안드레스 히메네스물리 치료사파블로 카리데
알베르토 카사레스
카를로스 브레네스재활 물리 치료사프란시스코 로리테장비 담당자사투르니노 캄포 디아스
산티아고 알바레스 논데두기술 지원팀훌리오 오르테가 루이스
로베르토 아빌레스


6. 역대 감독

{

감독임기
테디 파체코/Teddy Pachecoes1969–1970
호세 안토니오 올메도/José Antonio Olmedoes1970–1971
라몬 코보 안토란스/Ramón Cobo Antoranzes1971–1974
파키토 가르시아/Paquito Garcíaes1975–1976
막시모 에르난데스/Máximo Hernándezes1976–1978
호아킨 페이로/Joaquín Peiróes1978–1985
호세 우파르테/José Ufartees1985–1986
이셀린 산토스 오베헤로/Iselín Santos Ovejeroarg1987–1988
에밀리오 크루스 롤단/Emilio Cruz Roldánes1988–1989
호수 오르투온도/José Ortuondoes1989–1990
안토니오 세세냐 페르난데스/Antonio Seseña Fernándezes1990
안토니오 로페스 아바스1990–1991
마누엘 루이스 소사/Manuel Ruiz Sosaes1991
호세 미겔 폴로 라사로/José Miguel Polo Lázaroes1991–1992
헤수스 타르틸란/Jesús Tartilánes1992–1993
에밀리오 크루스 롤단/Emilio Cruz Roldánes1994–1995
산티아고 마르틴 프라도/Santiago Martín Pradoes1995–1996
카를로스 디아르테/Carlos Diartepar1996–1997
카를로스 산체스 아기아르/Carlos Sánchez Aguiares1997–1999
페르난도 잠브라노/Fernando Zambranoes1999–2000
카를로스 가르시아 칸타레로/Carlos García Cantareroes2000–2002
루이스 페레이라/Luís Pereirabra2002
산티아고 마르틴 프라도/Santiago Martín Pradoes2002–2003
호세 무르시아/José Murciaes2003–2006
마누엘 로메로 파스/Manuel Romero Pazes2006
알프레도 메리노 타마요/Alfredo Merino Tamayoes2006–2007
아브라함 가르시아/Abraham Garcíaes2007–2009
안토니오 리바스/Antonio Rivas (스페인 축구 선수)es2009–2011
밀린코 판티치/Milinko Pantićsrb2011–2012
알프레도 산타엘레나/Alfredo Santaelenaes2012–2014
오스카르 메나2014
로베르토 마리나/Roberto Marinaes2014
카를로스 산체스 아기아르/Carlos Sánchez Aguiares2014–2015
로베르토 프레스네도소/Roberto Fresnedosoes2015
빅토르 아폰소/Víctor Afonsoes2015–2016
오스카르 페르난데스/Óscar Fernández (1974년생 축구 감독)es2016–2019
나초 페르난데스/José Ignacio Fernández Garcíaes2019–2021
안토니오 리바스/Antonio Rivas (스페인 축구 선수)es2021
루이스 테베네트/Luis Tevenetes2021–2024
페르난도 토레스/Fernando Torreses2024–

}

7. 경기장

세로 델 에스피노 경기장은 마하다온다, 마드리드 자치 지역에 위치해 있다. 또한, 주전 선수단의 훈련장으로도 사용되며, 지역 CF 라요 마하다온다(2부 리그)의 홈 구장이기도 하다.[4]

더불어 이 시설에서는 전국 프로 축구 리그의 경기장 안전 규칙에 대한 심포지엄이 개최된다.

7. 1. 세로 델 에스피노 경기장

세로 델 에스피노 경기장은 마하다온다, 마드리드 자치 지역에 위치해 있다. 주전 선수단의 훈련장으로도 사용되며, 지역 CF 라요 마하다온다의 홈 구장이기도 하다.[4]

이 시설에서는 전국 프로 축구 리그의 경기장 안전 규칙에 대한 심포지엄이 개최된다.

8. 주요 선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에서 100경기 이상 1부 리그 경기에 출전했거나 국가대표로 활약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9. 기록

9. 1. 최다 득점 선수

wikitable

순위국적이름연도
1스페인후안 카를로스 데 디에고1988–199036
2스페인빅토르1978–1980, 1982–198334
스페인마놀로 알파로1989–1992
스페인토체2002–2004
5스페인산티아고 마르틴 프라도1975–1976, 1978–198232
6스페인마르코스 세케이로스1997–199930
7스페인안토니오 쿠에바스1981–1982, 1983-198528
8스페인루이스 테베네트1997–199927
스페인다니 아퀴노2012–2015
10스페인미겔린1984–198826


9. 2. 최다 출장 선수

순위국적이름연도경기
1스페인후아닌1979–1983, 1984-1985183
2스페인살바 말라곤1981–1986, 1988–1989147
3스페인리카르도1990–1991, 1992–1995, 1997-1998146
4스페인구스타보1994–1999141
스페인세사르 오르티스2007–2009, 2010–2013
6스페인페데 바혼1994–1998135
7스페인밍게스1974–1981133
8스페인호세 루이스 아르홀1980–1981, 1981–1984132
9스페인마누엘 핀토1986–1990, 1991–1992130
10스페인세사르1992–1995, 1997-1999127


10. 우승 기록

코파 데 라 리가(세군다 디비시온) 1982-83 시즌 우승.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는 1988-89, 2000-01, 2003-04 시즌 우승.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는 2016-17 시즌 우승. 테르세라 디비시온 RFEF에서는 2021-22 시즌 우승.

10. 1. 국내 대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는 코파 데 라 리가(세군다 디비시온)에서 1982-83 시즌에 우승을 차지하였다.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는 1988-89, 2000-01, 2003-04 시즌에 우승하였다.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는 2016-17 시즌에 우승하였고, 테르세라 디비시온 RFEF에서는 2021-22 시즌에 우승을 차지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El Cerro del Espino, el actual estadio del Rayo, es el más pequeño del fútbol profesional https://www.ideal.es[...] 2020-01-18
[2] 웹사이트 La encrucijada del Atlético B https://as.com/futbo[...] 2021-11-02
[3] 웹사이트 Atlético de Madrid B Plantilla https://www.atletico[...] Atlético de Madrid 2022-10-15
[4] 웹사이트 El Cerro del Espino, el actual estadio del Rayo, es el más pequeño del fútbol profesional https://www.ideal.es[...] 2020-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